La forme à venir
9 - 21 juillet 2024
Vernissage le vendredi 12 Juillet 18h-21h
Vernissage le vendredi 12 Juillet 18h-21h
59 Rivoli
59 Rue de Rivoli, 75001 Paris
Horaire d'ouverture : Mardi - dimanche : 13h - 20h
Artists
Demilé, GHEEM Sookyoung, KIM Jina, KIM Haeun, LEE Hyewon, WOO Cheyon
Selon l'auteur, une œuvre réalisée dans sa forme complète et selon l'intention de son créateur atteint ce que l'on appelle « achèvement ». Par conséquent, une œuvre « inachevée » se situe à un stade antérieur à sa forme finale, n'ayant pu atteindre son aboutissement. Ainsi, dans quel contexte peut-on distinguer entre achèvement et inachèvement ? Quelle forme prend le processus avant l'achèvement ?
L'exposition « La forme à venir » propose de soulever ces interrogations et d'explorer le processus de création.
Le moment où une idée émerge et se concrétise en image, avant de se figer en tant qu'œuvre achevée, est jalonné de transformations successives. Entre l'ajout de concepts et les hésitations du pinceau en prévision de l'étape suivante, de nombreuses phases se succèdent. Cela révèle des pensées brutes et non raffinées, une imagination nourrie de formes instables, et l'attitude de l'artiste qui privilégie la signification à un stade encore invisible.
L'« inachèvement » englobe tout ce processus vers un objectif créatif, se situant entre l'idéal et le résultat final.
작가의 의도대로 실현된 완전한 형태, 작품의 마침표가 ‘완성’이라면, ‘미완성’은 최종 형상화 이전의 단계, 끝맺음 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다면, 완성과 미완성의 가르는 맥락은 무엇인가? 완성 이전의 과정은 어떠한 형상을 띠고 있는가?
전시 «La forme à venir»는 창작 과정에 대한 의문을 꺼내 보이는 자리로서 갖추어졌다.
생각이 떠오르는 순간을 이미지로 구체화하고 작품의 결과로 고정시키는 과정에는 연속적인 변형이 일어난다. 개념을 덧붙이고, 다음을 고려하는 붓의 망설임에는 수많은 단계가 있다. 그것은 정제되지 않은 날것의 생각, 불안정한 형태에서 기인한 상상력, 비가시화의 단계에서 의미를 우선시하는 작가의 태도를 보여준다.
‘미완성’은’ 창의적 목적을 향한 이 모든 과정을 내포하는 것이며, 이념과 결과 사이에 존재한다.
L'exposition « La forme à venir » propose de soulever ces interrogations et d'explorer le processus de création.
Le moment où une idée émerge et se concrétise en image, avant de se figer en tant qu'œuvre achevée, est jalonné de transformations successives. Entre l'ajout de concepts et les hésitations du pinceau en prévision de l'étape suivante, de nombreuses phases se succèdent. Cela révèle des pensées brutes et non raffinées, une imagination nourrie de formes instables, et l'attitude de l'artiste qui privilégie la signification à un stade encore invisible.
L'« inachèvement » englobe tout ce processus vers un objectif créatif, se situant entre l'idéal et le résultat final.
작가의 의도대로 실현된 완전한 형태, 작품의 마침표가 ‘완성’이라면, ‘미완성’은 최종 형상화 이전의 단계, 끝맺음 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다면, 완성과 미완성의 가르는 맥락은 무엇인가? 완성 이전의 과정은 어떠한 형상을 띠고 있는가?
전시 «La forme à venir»는 창작 과정에 대한 의문을 꺼내 보이는 자리로서 갖추어졌다.
생각이 떠오르는 순간을 이미지로 구체화하고 작품의 결과로 고정시키는 과정에는 연속적인 변형이 일어난다. 개념을 덧붙이고, 다음을 고려하는 붓의 망설임에는 수많은 단계가 있다. 그것은 정제되지 않은 날것의 생각, 불안정한 형태에서 기인한 상상력, 비가시화의 단계에서 의미를 우선시하는 작가의 태도를 보여준다.
‘미완성’은’ 창의적 목적을 향한 이 모든 과정을 내포하는 것이며, 이념과 결과 사이에 존재한다.
La fragilité de la forme laisse ouverte la possibilité de modifications et d'expérimentations perpétuelles. Le processus variable de réassemblage de divers projets et de construction de la forme de l'œuvre suggère en fin de compte une multitude de résultats possibles. Dans le parcours de réalisation d'une œuvre, l'inachèvement reflète les multiples perspectives du créateur. Cela représente un fragment qui encapsule de manière partielle le sens et la forme de l'œuvre entière. Ces fragments de création, découverts tout au long du chemin vers l'accomplissement de l'œuvre, nous révèlent de petits instants de création. Les croquis de personnages avec leurs espaces laissés vides, les maquettes de sculptures, les morceaux de papier non encore assemblés capturent chacun, comme une scène de panorama, l'histoire appartenant à ce moment précis. Ils existent comme les formes les plus représentatives de chaque point de la chronologie. Ainsi, l'inachèvement, qui saisit l'instant de l'œuvre, existe comme une forme indépendante. Cela illustre le paradoxe de « l'accomplissement sans point final ».
형태의 취약성은 언제든 변화 가능한 수정과 실험의 개방성을 열어 둔다. 수없이 배열된 계획들을 재조립하고, 작품의 형식을 구축해가는 가변적 과정은 다양한 결과의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결국 작품을 구현해 나가는 여정에서, 미완성은 창작자의 여러 관점의 반영이며, 작품 전체의 의미와 형태를 단편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하나의 파편인 것이다. 작품의 완성으로 향하는 여정에서 발견되는 창작의 조각들. 우리는 그 조각의 더미에서 창작의 순 간순간을 마주한다. 여백이 가득한 인물 스케치, 조각을 위한 마케트(Maquette), 다 붙여지지 않은 종이 조각들은 마치 파노라마의 한 장면처럼, 그 시점의 이야기를 선명하게 담아낸다. 타임라인의 각 지점을 가장 잘 표현한 형태로서 이미 실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작품의 찰나를 담아낸 미완성은 그 자체로 독립된 형상으로 존재하게 되며, ‘마침표가 없는 완성’이라는 역설을 보여준다.
형태의 취약성은 언제든 변화 가능한 수정과 실험의 개방성을 열어 둔다. 수없이 배열된 계획들을 재조립하고, 작품의 형식을 구축해가는 가변적 과정은 다양한 결과의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결국 작품을 구현해 나가는 여정에서, 미완성은 창작자의 여러 관점의 반영이며, 작품 전체의 의미와 형태를 단편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하나의 파편인 것이다. 작품의 완성으로 향하는 여정에서 발견되는 창작의 조각들. 우리는 그 조각의 더미에서 창작의 순 간순간을 마주한다. 여백이 가득한 인물 스케치, 조각을 위한 마케트(Maquette), 다 붙여지지 않은 종이 조각들은 마치 파노라마의 한 장면처럼, 그 시점의 이야기를 선명하게 담아낸다. 타임라인의 각 지점을 가장 잘 표현한 형태로서 이미 실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작품의 찰나를 담아낸 미완성은 그 자체로 독립된 형상으로 존재하게 되며, ‘마침표가 없는 완성’이라는 역설을 보여준다.
L'exposition « La forme à venir » juxtapose l'achèvement et l’inachèvement.
Pour l'artiste, ces notions ne sont pas des concepts opposés, mais s'inscrivent dans une même direction. En fin de compte, distinguer entre achèvement et inachèvement est vain, et considérer l'inachèvement comme un processus indépendant de l'accomplissement lui confère une signification artistique en soi.
Nous observons les résonances particulières produites par l'écart infime entre achèvement et inachèvement, ainsi que l'audace de ce qui reste inachevé et qui peut encore évoluer.
Cela peut-être une signification spéciale attribuée aux espaces vides non encore remplis, ou une anticipation de la forme future à venir.
En examinant sans préjugés les états intermédiaires, nous attendons avec impatience le moment où nous rencontrerons la forme à venir.
전시 «La forme à venir»는 완성과 미완성을 같은 자리로 옮겨둔다.
작가에게 완성과 미완성은 대척점에 놓인 다른 개념이 아닌, 한 방향성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결국, 완성과 미완성을 가르는 것은 무의미하며, 미완성을 완성의 한 독립된 과정으로서 지향할 때 그 자체로 예술적 의미를 지닌다.
우리는 완성과 미완성의 미세한 틈새가 자아내는 특수한 울림, 완결되지 않아 여전히 변화할 수 있는 대담함을 바라본다.
어쩌면 그것은 아직 채워지지 않은 여백에 대한 특별한 함의, 앞으로 완성될 형태에 대한 기대이다.
중간 지점의 존재들을 편견 없이 돌아보며, 다가올 형태를 마주하는 순간을 고대한다.
Pour l'artiste, ces notions ne sont pas des concepts opposés, mais s'inscrivent dans une même direction. En fin de compte, distinguer entre achèvement et inachèvement est vain, et considérer l'inachèvement comme un processus indépendant de l'accomplissement lui confère une signification artistique en soi.
Nous observons les résonances particulières produites par l'écart infime entre achèvement et inachèvement, ainsi que l'audace de ce qui reste inachevé et qui peut encore évoluer.
Cela peut-être une signification spéciale attribuée aux espaces vides non encore remplis, ou une anticipation de la forme future à venir.
En examinant sans préjugés les états intermédiaires, nous attendons avec impatience le moment où nous rencontrerons la forme à venir.
전시 «La forme à venir»는 완성과 미완성을 같은 자리로 옮겨둔다.
작가에게 완성과 미완성은 대척점에 놓인 다른 개념이 아닌, 한 방향성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결국, 완성과 미완성을 가르는 것은 무의미하며, 미완성을 완성의 한 독립된 과정으로서 지향할 때 그 자체로 예술적 의미를 지닌다.
우리는 완성과 미완성의 미세한 틈새가 자아내는 특수한 울림, 완결되지 않아 여전히 변화할 수 있는 대담함을 바라본다.
어쩌면 그것은 아직 채워지지 않은 여백에 대한 특별한 함의, 앞으로 완성될 형태에 대한 기대이다.
중간 지점의 존재들을 편견 없이 돌아보며, 다가올 형태를 마주하는 순간을 고대한다.
Support
by